= 1) ? "Mobile" : "Computer"; } if (MobileCheck() == "Mobile") { $no = "no"; } ?> 오작교의 테마음악방
Head.jpg
  • Loading...
  • Loading...
INTRODUCTION

The Well-Tempered Clavier, Book I (BWV 858-869)

바흐는 클라비어곡을 많이 남겼는데, 그 가운데서 가정 음악을 즐기기 위해서, 또는 가족이나 제자들의 교재로서 쓰인 것이 적지 않다. 예를 들면 1720년에 정리된 이라든가 1722년 및 1725년에 정리된 <안나 막달레나를 위한 클라비어 소품집> 등은 아내와 아이들의 음악 기초 교육을 목적으로 편찬되어 그 가운데의 몇 개는 가족으로써 앙상블을 즐기는 일 등에 쓰인 것이며, 또한 <프리데만을 위한 클라비어 소품집>에서도 원형을 찾아볼 수 있으며, 후에 1723년이 되어서 한 권의 청서보로서 정리된 <인벤션과 신포니아>도 제자들의 교재로서 쓰여진 사실이 판명되었다.

또한 바흐의 생존 중에 출판된 <클라비어 연습곡집> 제1권(여섯 개의 파르티타를 수록), 동 제 2권(이탈리아 협주곡, 프랑스 서곡), 동 제 3권(오르간을 위한 코랄 전주곡, 네 개의 듀엣), 동 제 4권의 골드베르크 변주곡 등도 그 타이틀에서도 추측할 수 있듯이 교재로서의 목적이 포함되어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한스 폰 뷔로에 의해서 "피아노의 구약성서"-(참고: 피아노의 신약성서는 베토벤의 피아노소나타)에도 비유된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제1, 2권>에도, 바흐 자신에 의해서 쓰여진 제 1권의 서문 <평균율 클라비어....학습을 열심히 하고 음악을 좋아하는 젊은이에게 쓸모 있도록, 또한 이미 이 학습에 숙달된 사람들을 위로하기 위해서>에서 밝혀졌듯이 교재로서의 일면도 찾아 볼 수 있다.

제1권은 다장조, 다단조, 올림 다장조, 올림 다단조...로 나단조까지 반음계를 더듬어 가는 장단을 합쳐서 24개의 조에 의한 전주곡이 붙은 푸가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바흐 자신이 특히 평균율이라는 이름을 붙이지 않았던 제 2권도 마찬가지의 구성에 의했다. 그렇지만 이 <평균율>이라는 명칭은 그때까지 일반적이었던 순정률에 대한 평균율 조율에 의한 클라비어를 위한 작품이라는 뜻으로 붙여진 것이다.
순정률의 경우에는 한 옥타브에 포함된 12개의 반음정이 등분비가 아니기 때문에 피치가 고정된 건반악기에서는 다양한 조를 자유롭게 연주할 수 없다는 불편도 있어서 평균율 조율법이 16세기 초엽에 제안되었으며, 바흐 이전에도 프로벨거, 파헬벨, 요한 카스파르, 페르디난트 피셔, 마테즌 등이 평균율에 의한 건반 악기를 위한 작품을 작곡했다. 특히 피셔의 <신오르간을 위한 20개의 소프렐류드와 푸가>는 바흐의 <평균율>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 것으로도 중요하며, 마테즌의 것은 24개의 조 모두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처음 있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흐의 <평균율>이 오늘날 그런 종류의 작품을 대표하고 있다는 사실은 단적으로 말해서 그것이 음악 작품으로서 훌륭하다는 것을 증명해주고 있다.

작품의 구성 및 특징

13. The Well-Tempered Clavier: No.13 In F Sharp BWV 858
애처롭고 흐르는 듯한 아름다움을 가진 프렐류드는 인벤션풍의 서법으로 마무리되어 있는데, 어디까지나 아름답고 때로는 낭만적인 향기조차 느껴진다.푸가는 3성. 주제는 프렐류드에 상응하듯이 섬세하고 멋진 느낌을 가지고 있다. 소프라노에 우선 제시되고 그것이 끝나는 동시에 응답이 알토로 시작되며, 그것이 다시 끝나는 동시에 베이스에 주제가 나타나는 계기적인 배치는 푸가의 정법이기는 하나 이 곡의 경우에는 극히 효과적이다.

14. The Well-Tempered Clavier: No.14 In F Sharp Minor BWV 859
프렐류드는 인벤션적인 서법을 취하여 단조이기는 하나 오히려 밝은 느낌으로 약간 조심스러우면서도 드라마틱하기도 하다. 4성의 푸가는 제12곡과 마찬가지로 주제 자체에 비극적인 기분이 강하게 나타나 있으며, 으뜸음으로 시작하여 허덕이듯이 딸림음에 도달한 후 깊이 빠지듯이 으뜸음으로 돌아오는 주제에는 슬픔같은 인간적인 고뇌를 느끼게 한다. 이 주제에 대한 대위부도 역시 아름다우며 호흡이 긴 주제의 선율선의 사이를 누비듯이 움직인다.

15. The Well-Tempered Clavier: No.15 In G BWV 860
프렐류드는 경쾌하고 명랑하다. 3잇단음표(그러나 박자 기호는 24/16)의 음형에 의한 빠른 움직임은 누를 수 없는 기쁨에 넘쳐 순식간에 곡을 종말로 이끌어 간다. 푸가는 4성이지만 대부분온 2성으로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다소 인벤션적인 느낌이 없지도 않다. 동기와의 2, 3마디의 동기와의 짜임에 의해 이루어져 있어 극히 밝고 경쾌한 운동성이 강하게 느껴져 이것이 이 푸가의 성격을 결정하고 있다.

16. The Well-Tempered Clavier: No.16 In G Minor BWV 861 프렐류드는 오르간적인 이디엄에 의해 씌어져 <평균율> 속에 있다는 것은 약간 아쉬움이 느껴진다. 4성의 푸가주제는 약간 평범하다. 그러나 푸가로서 나중에 동기적인 활용을 하게 되었을 때는 편리한 주제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는 주제는 잘 고안되었다고도 할 수 있으나, 이 선율 진행은 실로 바로크 시대에 흔히 쓰이고 있는 것으로 페르디난트 피셔의 Eb장조의 푸가 주제와의 유사가 인정된다.

17. The Well-Tempered Clavier: No.17 In A Flat BWV 862
온화한 느낌으로 마무리되어 있는 프렐류드는 그 취급에 대화풍인 것을 느끼게 하는데, 그것은 아마 주제 동기의 음형에서 오는 것이리라. 프렐류드의 주제와 아주 잘 닮은 주제를 가진 이 4성의 푸가는 그 곡상에 있어서도 강한 유사를 나타내고 있다.

18. The Well-Tempered Clavier: No.18 In G Sharp Minor BWV 863
원래 이것은 당연히 ab단조가 되어야 하는데, 바흐는 그것을 g#단조로 했다. 역시 조성상의 문제 때문일 것이다. 그 조성에서 은 것이겠지만 이 프렐류드에는 기품있는 우수를 느낄 수 있다. 서법적으로는 3성의 인벤션이다. 4성의 푸가는 깊은 생각에 잠긴 표정을 띤 주제로 시작된다(테너), 주제 중 끝의 6개의 8분음표(A)는 나중에서의 다분히 호모포닉 한 간주부에 사용된다. 2개의 일정한 대위부를 가진다. 스트레타는 없다.

19. The Well-Tempered Clavier: No.19 In A BWV 864
프렐류드는 3성의 인벤션이다. 쾌활한 주제는 상성부, 하성부(4마디째), 중성부(8마디째)로 차례차례 이어져 12마디째부터 후반에 들어가는 2부분 형식이다. 3성의 푸가는 처음에 하나의 8분음표를 두고 3개의 8분 슁표를 둔 뒤에 이어지는 주제 그 자체가 다른 곡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특색이 되고 있는 데다 주제의제시가 스트레타로 나타나 있는 점이 특이하다. 또 9/8라는 것은 2권으로 된<평균율>을 통하여 이 곡뿐이다.
20. The Well-Tempered Clavier: No.20 in A Minor BWV 865
프렐류드는 단순하고 거친 터치로 만들어져 있다. 무엇보다도 우선 생기 있는 리듬감이 전면에 내놓아져 있으므로 선율감이나 화성감이 빈약한 것은 부정할 수 없지만 그 대신 긴장감에 넘쳐 있다. 그 다이내미즘이 특징이다. 푸가는 4성.주제는 3마디에 불과하나 음표의 수가 많으므로 매우 긴 주제처럼 느껴진 프렐류드와 비슷하여 명쾌한 리듬 패턴이 a단조이면서도 오히려 밝은 느낌을 주며, 일종의 활기에 찬 성격을 띠어 유모레스크한 감조차 준다.

21. The Well-Tempered Clavier: No.21 in B Flat BWV 866
프렐류드의 연습곡풍의 음형은 Bb장조의 화음적인 울림을 들려 주면서 매우 속히 뛰어다닌다. 다분히 토카타적이고 즉흥이기조차 하다. 그야말로 푸가 주제다운 리듬음형을 가진 4마디에 걸친 긴 주제로 시작되는 3 성의 푸가는 2개의 고정된 대위부를 가고 48마디에 걸친 전체가 거의 그 재료에 의해 전개되고 있다.

22. The Well-Tempered Clavier: No.22 In B Flat Minor BWV 867
종교적인 프렐류드. 제4곡(c#단조)이나 제8곡(eb단조)과 같은 분위기를 가지고 우리들로 하여금 수난곡의 세계로 끌어들여 버린다. 8분음표에 의한 바소오스티나토 위에 기도와도 같은 아름다운 선율이 홀러간다. 푸가 쪽은 제4곡과 함께<평균율> 속에서의 1성가의 하나이다. 프렐류드와 마찬가지로 종교적이고 수난곡풍의 발상에 의해 마무리되어 있다.

23. The Well-Tempered Clavier: No.23 In B BWV 868
프렐류드도 3성의 인벤션이다. 16분음표의 조용한 움직임이 전원적인정서를 빚어내어 애처로운 아름다움을 나타내고 있다. 4성의 푸가는 선행하는 프렐류드와 기분적인 점에서 일치하고, 차분한 밝음을 나타내며, 주제의 스트레타는 없이 간결하게 잘 마무리되고 있다.

24. The Well-Tempered Clavier: No.24 In B Minor BWV 869
프렐류드, 푸가 모두 <평균율> 제1권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데 적합한 묵직함과 품격을 가지고 있다. 프렐류드에서는 통주저음처럼 움직이는 8분음표에 의한 베이스의 움직임이 극히 인상적이며 그 위에 2중 대위법에 의한 상성 2부의 아름다운 선율이 흘러간다. 이것은 분명히 이탈리아의 트리오 소나타의 양식을 모방하고있다.

글 출처 : 想像의 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