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Mobile" : "Computer"; } if (MobileCheck() == "Mobile") { $no = "no"; } ?> 오작교의 테마음악방
Head.jpg
  • Loading...
  • Loading...
INTRODUCTION

The Well-Tempered Clavier, Book II (BWV 870-881)

제2권이 마무리된 것은 1744년이므로 바흐는 이미 59세이며 제1권이 나오고도 20여년의 세월이 흐른 셈이다. 그의 마지막 생활의 고장이었던 라이프치히로 이사한 후로부터도 10년의 세일이 경과되었다. 제1권으로부터 20년이나 되는 세월의 상거(植距)는 음악의 세계에도 큰 변화를 가져와 이 무렵에는 폴리포닉한 음악은 이미 낡았고, 평균율 자체도 결코 새로운 것은 아닌 것으로서 일반에 널리 사용되고 있었다.
이를테면 도메니꼬 스카를라티의 최초기의 소나타는 1738년부터의 날짜로 되어 있다.형태로서는 제1권과 꼭같아 C장조부터 b단조 까지 24의 조에 걸쳐 프렐류드와 푸가가 짜여져 있다. 연주 시간과 각 곡이 저마다 제1권과 거의 같은데, 전체의 연주에는 2시간 10분 정도를 요한다.

작품의 구성 및 특징

01. The Well-Tempered Clavier: No.1 In C BWV 870
제1권 제1곡보다는 당당한 프렐류드이다. 지극히 세밀한 4성의 대위법에 의해 마무리되었으며, 바하의 원숙한 기교를 엿볼 수 있다. 3성. 명쾌한 리듬에 의한 푸가 주제는 후반에서 16분음표에 의한 동기를 수반한다. 스트레타는 없으나 주제의 1마디째의 동기를 계기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종결부에 있어서의 긴장감을 고조시키고 있다.

02. The Well-Tempered Clavier: No.2 In c minor BWV 871
전후 두 부분으로 나뉘는 형태를 취하는 프렐류드는 서법적으로는 2성의 인벤션이다. 4성의 푸가 주제는 1마디로 짧아 알토로 제시된 후 바로 소프라노로 응답되는데, 테너에 의한 주제 제시는 1마디 늦게 나타나, 이에 대한 베이스에 의한응답은 더 늦어 7마디째이다. 주제의 화대형이나 반행형이 사용되고 스트레타도 있어 프렐류드와 마찬가지로 활기 있는 푸가로 되어 있다. 특히 19마디째에 나타나는 베이스의 확대형에 의한 주제는 장중하여 매우 인상적이다.

03. The Well-Tempered Clavier: No.3 In C Sharp BWV 872
프렐류드라고 해도 후반은Allegro라는 지정이 있는 푸게타로 원래는 이것만으로 「프렐류드와 푸가」라는 형태로 만들어져 있었던 것 같다. 그렇게 본다면 피션의 것과 꼭 같은 규모의 것이 되어 바하의 그의 작품 등을 본으로 하여 처음에 시작했다는 것을 뒷받침하고 있는 것같이 생각되기도 한다. 그러나 여기서는 그것을 한데 묶어서 프렐류드로 하고 나중에 딴 푸가를 보탬으로서 이 3곡을 형성하고있다. 프렐류드의 전반은 오스티나토의 8분음표의 새김위에 분산화음의 조용한 울림을 시종 들려 준다. 제1권 제1곡과의 유사를 느낀다.

04. The Well-Tempered Clavier: No.4 In c# minor BWV 873
프렐류드는 3성의 대위법에 의해 처리되고 있는 종교적인 엄숙한 곡으로 하나하나에 깊은 감동이 숨겨져 있어 효과적인 꾸밈음의 사용으로 그것이 한층 높여져 있다. 이 프렐류드와는 전혀 대조적으로 4성의 푸가 쪽은 12/16에 의한 극히급속한 템포로 유동적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분명히 비르투오조적인 푸가로 되어 있다. 24마디째에는 소프라노에 주제의 반행형이 사용되고 있다.

05. The Well-Tempered Clavier: No.5 In D BWV 874
프렐류드는 그 첫머리의 1절을 들으면 바로 알 수 있듯이 축전적인 분위기를 가진 곡으로 마무리되어 있다. 푸가는 4성. 베토벤의 「운명」의 모티브를 상기시키는 동기로 시작하는 주제는 그 자체 속에 전개적 배아(胚芽)를 가지고 극히 입체적이다. 제시부에서는 소프라노의 주제에서 베이스의 응답으로 스트레타를 볼 수 있으나, 전체적으로 스트제타가 다용되어 동음 반복의 동기가 그 구축성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06. The Well-Tempered Clavier: No.6 In d minor BWV 875
분류처럼 재빨리 눈깜짝할 사이에 끝나 버리는 거친 터치의 프렐류드에서 바하로서는 드물게 격한 감정을 우리는 보게 된다. 격렬하게 돌진해 가는 16분음표의 움직임에 항상 대치되는 8분음표가 그 격렬함에 악센트를 붙이듯이 두어지고 그것이 반음적인 변화를 수반할 때 그 인상은 더욱 강렬한 것이 된다.

07. The Well-Tempered Clavier: No.7 In E Flat BWV 876
이 프렐류드에는 우아라는 형용이 가장 적합할 것이다. 4성의 푸가는 시작의 장중함에 비해 후반은 평범하고 약간 불균형한 느낌을 면할 수 없다. 6마디에 걸친 베이스로 제시되는 주제는 바하의 선율적 재능을 유감없이 보여 주는 것으로, 이에 대한응답과 그 대위부의 형성, 스트레타의 정법적인 사용 등, 푸가기법에 숙달된 대가의 작풍 같은 것을 생각케 하는데, 앞에서도 말했듯이 너무 얌전해져서 감동은 매우 적다.

08. The Well-Tempered Clavier: No.8 In d# minor BWV 877
프렐류드는 형식적으로는 알르망드의 그것(16+20의 2부분으로 나뉜다)을사용하고 있는데, 서법적으로는 2성의 인벤션이다. 4성의 푸가는 묵직하고 침사적(沈思約)이기는 하나 과히 인상적이지는 않다. 주제 자체도 움직임이 적고 조용한 애수가 그 차분한 늘 위기 속에 있어 아름답다.

09. The Well-Tempered Clavier: No.9 In E BWV 878
48곡을 통하여 가장 빛나는 존재인 이 프렐류드에는 말할 수 없는 평화로운 느낌에 차 있어 3성부의 대위법에 의한 충실한 서법과 거기에서 생겨나는 풍부한 울림에 의해 이곡에 고귀한 서정성을 주고 있다. 각각 반복되는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푸가는 4성. 음가가 긴 음표를 쓴 푸가 주제는 선행하는 프렐류드에 알맞은 고귀한 감정을 띠고 베이스에 우선 제시된다.

10. The Well-Tempered Clavier: No.10 In e minor BWV 879
종교적인 곡상을 가진 제9곡의 뒤를 받아서 이 프렐류드는 단조이면서 극히 쾌활하고 남국적인 밝음을 나타내어 전곡과는 강한 대조성을 빚어내고 있다.서법으로서는 2성의 인벤션이다. 단7도 안에서 상하로 흔들거리는 듯한 주제가 뛰어나게 간결한 수법으로 유창하게 처리되고 있다. 형식적으로는 저마다 반복되는 2부분 구성이다. <평균율>의 전 푸가 중 가장 긴 주제를 가진 이 푸가는 3성. 그 긴 주제는 그 길이에도 불구하고 항상 완전한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이 주제는 우선 소프라노로 제시되는데, 그것이 완전히 끝남과 동시에 알토로 응답한다. 마지막에는 베이스에 주제가 나타나 제시부를 끝내고 짧은 간주를 취한다. 이하 소프라노, 알토, 베이스, 이어 알토, 소프라노 순으로 각각 짧은 간주를 사이에 두고 차례로 주제(응답)가 나타나게 되는데, 마지막의 베이스의 제시가 시작되기 전에 페르마타가 두어두어져 여기서 일시적으로 반종지한다. 이후 베이스의 주제 재현에 이어 종결부로 들어간다. 스트레타는 없다. 번쩍이는 듯한 화려함을 띤 순수한 기악 것인(혹은 피아노적이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푸가이다.

11. The Well-Tempered Clavier: No.11 In F BWV 880
이 풍부한 울림을 내고 흐르는 프렐류드에서는 유려하다는 표현이 가장 알맞을 것이다. 피규레이션이 항상 어딘가의 성부에 흐르고 있고 그것을 다른 성부가 화성적으로 받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12. The Well-Tempered Clavier: No.12 In f minor BWV 881
프렐류드는 다분히 호모포닉하다. 약간 애수를 띠고 있어 어느편이냐 하면 센티멘털한 울림조차 준다. 전후 2부분으로 나누어 각각 되풀이되는 형식을 취하고, 분산음형도 다용되어 그것이 어둠을 불식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오붓하게 마무리된 소품이다. 푸가는 3성. 연주가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이 주제는 역시 경쾌한 느낌으로 연주될 때 그 가장 적합한 특징이 나타날 것이다.

글 출처 : 想像의 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