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Henryk Szeryng, violin
Royal Concertgebouw Orchestra,
Bernard Haitink, Conductor
Total timing 01:03:24
1. Violin Concerto in D major. Op.61
작품의 개요 및 배경
베토벤과 모차르트는 열네 살 차이가 납니다. 당연히 모차르트가 연상이지요. 하지만 모차르트는 베토벤이 스물한 살이던 1791년에 사망합니다. 베토벤은 그 다음해에 오스트리아 빈으로 이주해 하이든을 사사하면서, 빈의 음악가로서 본격적인 발걸음을 내딛게 됩니다. 또 그 다음해에는 리히노프스키 공작 등 빈의 유력한 음악후원자들과 친교를 맺기 시작하지요. 이어서 스물다섯 살이 되던 1795년에 마침내 빈에서 피아니스트로 데뷔합니다. 그렇습니다. 베토벤은 선배인 모차르트가 그랬듯이, 당대의 뛰어난 피아니스트였습니다. 그러고 보면 이 두 사람이 서양음악사에서 바통을 터치하는 시기가 참으로 절묘하게 맞아떨어진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런데 이 두 피아니스트의 스타일은 여러 모로 달랐습니다. 물론 그 차이는 그들이 남긴 피아노 음악들(소나타와 협주곡 등)에서도 드러나지만, 실제로 연주회장에서 보여주는 스타일도 많이 달랐습니다. 어떻게 달랐을까요? 간단히 말해 모차르트의 연주는 스타카토(staccato)적입니다. 음을 짧게 끊어서 치는 느낌이 강하지요. 반면에 베토벤은 레가토(legato)적입니다. 스타카토와 레가토는 상대적 의미라고 보시면 됩니다. 베토벤의 피아노 스타일은 모차르트보다 부드럽게 이어지는 느낌을 한층 강조하고 있다고 봐야겠지요. 실제로 베토벤은 자신이 피아노를 가르쳤던 제자들에게도 이 ‘레가토’를 수없이 주문했다고 전해집니다.
자, 두 사람은 그렇게 시대를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면서 당대의 피아노 명인으로 활약했습니다. 그런데 피아노뿐이었을까요? 두 사람이 피아노 말고 또 능숙하게 연주했던 악기로는 뭐가 있을까요? 그렇습니다. 바로 바이올린과 비올라였습니다. 피아노만큼 ‘절대적인 악기’는 아니었지만, 베토벤과 모차르트는 바이올린과 그 형제라고 할 수 있는 비올라도 능숙하게 연주할 줄 알았습니다.
베토벤이 피아노뿐 아니라 바이올린도 빼어나게 다뤘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음악이 바로 10곡의 바이올린 소나타겠지요.
그 베토벤이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을 하나밖에 남기지 않았다는 사실은 아쉬운 지점이기도 합니다. 바로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op.61>입니다. 베토벤은 피아노 협주곡을 다섯 곡 썼지만, 바이올린 협주곡으로는 오늘 들을 D장조 협주곡이 유일합니다.
하지만 이 하나뿐인 협주곡은 풍부한 서정미와 우아한 품격을 두루 갖춘, 연주시간 약 45분에 달하는 대곡입니다. 게다가 독주 바이올린과 오케스트라의 주고받음이 그야말로 팽팽한 긴장감을 느끼게 합니다. 이 팽팽한 대치야말로 베토벤 중기 협주곡들에서 나타나는 특징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겠지요. 베토벤은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를 완성하기 직전에 피아노 협주곡 4번을 썼고, 그 다음 협주곡으로는 ‘황제’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피아노 협주곡 5번을 작곡했습니다. 특히 우리는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와 피아노 협주곡 ‘황제’에서 독주악기의 ‘영웅성’과 대면할 수 있습니다. 이 두 곡에서 독주악기는 마치 작곡가(베토벤)의 분신이기라도 하듯이 ‘거대한 어떤 것’에 저항하고 투쟁합니다. 그것은 체제일 수도 있고 운명일 수도 있겠지요. 그래서 마침내 베토벤 음악의 특징 가운데 하나인 드라마틱한 장관이 펼쳐집니다.
유일한 바이올린 협주곡을 작곡했던 때는 베토벤이 서른여섯 살이던 1806년입니다. 프랑스의 나폴레옹 군대가 빈을 점령하고 있던 시기였습니다. 베토벤은 그 해 가을, 자신의 후원자인 리히노프스키 공작의 집에 잠시 머물고 있었지요. 어느 날 공작이 점령군들을 위한 파티와 연주회를 준비했는데, 그날 연주회에는 당연히 베토벤의 연주도 포함돼 있었습니다.
하지만 베토벤은 연주할 시간을 얼마 앞두고 사라졌습니다. 비가 내리는 밤이었다고 합니다. 그때 베토벤은 리히노프스키에게 이런 편지를 남겼지요. “당신이 공작일 수 있는 것은 가문과 우연에 의한 것입니다. 그러나 나는 나 자신의 힘으로 이뤄졌습니다. 지금까지도 그리고 미래에도, 수많은 공작들이 있었고 앞으로도 그럴 겁니다. 하지만 베토벤은 오직 나 한 명뿐입니다.”
초연은 같은 해 12월 23일, 안 데어 빈 극장에서 열렸습니다. 프란츠 클레멘트(1780~1842)라는 바이올리니스트의 연주회였는데, 베토벤은 연주회 직전에야 독주 파트를 완성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클레멘트는 이 곡을 연습 없이 초견 연주했다고 전해집니다. 한데 그날 이후에 베토벤의 이 곡은 거의 연주되는 일이 없었다고 합니다.
왜 그랬을까요? 이유는 대체로 두 가지로 요약됩니다. 하나는 유례없이 긴 1악장을 연주자들이 부담스러워 했기 때문이라는 것. 또 하나는 베토벤 이후 낭만주의가 본격화하면서 파가니니 풍의 화려한 기교적 연주가 유행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말하자면 바이올리니스트가 이 곡을 연주하기는 결코 쉽지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청중에게 신들린 듯한 기교를 보여줄 만한 패시지가 있는 것은 아니라는 얘기가 되겠지요.
그렇습니다. 베토벤의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는 겉으로 드러나는 테크닉의 화려함보다는 내면적인 고상함을 느끼게 하는 곡입니다. 아울러 매우 격조 있는 서정성이 물결치는 곡입니다. 세월이 거의 40년쯤 흐른 뒤에, 브람스의 막역한 친구였던 당대의 바이올리니스트 요제프 요아힘(1831~1907)이 이 곡의 진정한 가치를 음악사에 아로새기게 됩니다.
작품의 구성 및 특징
제1악장 알레그로 마 논 트로포
1악장은 팀파니가 둥둥둥둥 D음을 연타하면서 문을 엽니다. 이 4박자의 리듬을 잘 기억해 두시기 바랍니다. 딴딴딴딴 하면서 분절되는 느낌의 리듬입니다. 1악장 곳곳에 등장하는 리듬 형입니다. 이어서 목관악기들이 장중하면서도 느긋하게 첫 번째 주제를 연주합니다. 힘찬 분위기의 경과부를 거치고 두 번째 주제도 역시 목관(플루트는 빠진)이 연주합니다. 첫 주제에 비해 좀 더 여성적인데다 노래하는 듯한 느낌을 담아내고 있습니다. 바이올린과 관현악이 이 두 개의 주제를 주거니 받거니 하면서 음악이 전개되는데, 그 사이사이에서 독주 바이올린이 펼쳐내는 아름다운 연주에 귀를 기울여보시기 바랍니다.
독주 바이올린이 펼쳐내는 카덴차(cadenza: 악곡이나 악장이 끝나기 직전에 독주자가 연주하는 기교적이고 화려한 부분)는 1악장에서 매우 인상적인 장면입니다. 이 카덴차는 후대의 바이올리니스트들이 만든 것입니다. 요아힘 같은 이들이 카덴차를 첨가해 음악을 좀 더 흥미진진한 방향으로 유도했지요. 요아힘 외에 크라이슬러(1875-1962)가 만든 카덴차도 많이 연주됩니다. 제가 지금 듣고 있는 LP음반은 바이올리니스트 이다 헨델(85), 그리고 라파엘 쿠벨리크가 지휘하는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의 협연(RCA)인데, 이 연주에서는 요아힘의 카덴차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2악장 라르게토
연주시간 약 24분의 1악장이 끝나고, 라르게토(larghetto)의 느린 2악장이 평화스러운 느낌으로 문을 엽니다. 약음기를 낀 현악기들이 주제를 제시하면 독주 바이올린이 그 주제를 아름답게 장식하면서 따라붙습니다. 1악장은 주제와 세 개의 변주로 이뤄졌습니다.
1변주에서는 클라리넷이, 2변주에서는 파곳이 주제를 연주합니다. 마지막 세 번째 변주는 관현악만으로, 앞서의 변주들보다 훨씬 강한 음향으로 연주됩니다. 독주 바이올린은 그 변주들 사이사이에서 어딘지 애틋한 느낌이 담긴 선율들을 아름답게 노래합니다. 마지막에 다다르면 현악기들의 묵직한 음향이 갑작스럽게 한차례 울려 퍼진 다음, 다시 바이올린이 카덴차 풍의 독주를 선보이면서 다음 악장으로 연결되지요.
제3악장 론도, 알레그로
쉼표 없이 아타카(attacca)로 이어지는 3악장은 알레그로(allegro)로 템포가 빨라집니다. 독주 바이올린이 1악장에서도 들었던 주제를 생동감 있게 연주하고 관현악이 곧바로 이어받습니다. 3악장은 이른바 론도 악장이지요. 주제(A)를 여러 차례 반복하면서, 그 사이사이에 부차적인 주제(B, C)가 자리하는 형식입니다. 말하자면 A-B-A-C-A-B-A의 형식입니다.
그러니까 메인 주제에서 시작해 메인 주제로 끝나는데, 그 중간에 부차적 성격을 갖는 다른 주제들이 끼어듭니다. 그래서 풍성한 음악적 효과를 얻습니다. 3악장의 첫 번째 부주제(B)는 가볍고 산뜻한 느낌, 두 번째 부주제(C)는 노래의 느낌이 강한, 아름답고 매혹적인 선율입니다. 마지막으로 독주 바이올린의 화려한 카덴차가 펼쳐진 후, 관현악이 짧고 육중하게 마침표를 찍습니다.
글 출처 : 내 인생의 클래식 101(문학수)
2. Romance for Violin & Orchestra No.1 G major. Op.40
베토벤은 독주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로망스>를 두 곡 작곡했다 바로 이 G장조와 이어지는 F장조 작품50이다. 이 두 곡은 그의 작품 중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는데 그 한가지 이유는 그가 이런 식의 협주적 소품을 이 곡들 외에는 거의 쓰지 않았기 때문이다. 협주곡을 제외하면 이 두 곡 외에<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론도>B
b 장조 WoO6(1795년경)이 있을 뿐이다.
작곡연대는 자세히 알수 없지만 늦어도 1802년에는 완성되었다. 1802년 10월 18일에 카를이 브라이트코프&헤르텔 사에 보낸 편지에 이 두곡의 출판의뢰에 대한 내용이 적혀있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1800년 경에 작곡되었다. 자필악보는 본의 베토벤 하우스에 보존되어 있다.
초판은 1803년 12월 호프마이스터&큐넬 사(라이프치히)에서 출판되었다.
작품40은 같은 로망스이지만 작품50과는 성격이 다르다. 그것은 주제의 구조에서 분명히 나타나는데 작품 50이 다분이 선율적인데 비해 작품40은 한층 화성적이며 내면성을 띠고 있다.
악기편성은 독주 바이올린 외에 현4부(첼로와 콘트라베이스는 동일성부)와 플루트,오보에2,파곳2,호른2로 구성되며 소편성 오케스트라 반주에 의한 긴밀한 정서를 느낄 수 있다. 곡의 형식은 A(20)-B(16)-A(20)-C(19)-A(10)-코다로 구성되는 전형적인 론도 형식이다. 첫부분 A는 바이올린 독주로 시작되며 이것을 오케스트라가 반복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것은 <피아노 협주곡 제4번>에서도 나타나는 제시방법이다 또한 독창(선창)과 합창이 응답하는 식으로 노래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이를 테면 교향곡제 9번 마지막악장에서처럼 독주(노래)와 관현악의 대응이라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B는 A와 연관성을 지니고 있으나 C부분은 e단조로 조옮김하여 명암의 대비를 이룬다.
3. Romance for Violin & Orchestra No.2 F major. Op.50
같은 로망스이면서도 작품40에 비해 선율미가 풍부하다. 베토벤은 바이올린 소나타 장르에서도 F장조를 사용하여 밝고 선율적인 곡을 쓰고 있다. 한편 F장조는 교향곡<전원>의 조성으로 목가적인 정서를 지니며 관계조인 d단조로 작품31,32로 대포되는 작품이다. 또한 그 병행 단조인 f단조로는 <열정>을 비롯한 명작이 있으며 베토벤의 내적 활동과 밀접한 연관성을 조여준다.
자필 악보는 워싱턴 국회 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다. 초판은 1805년 5월 미술공예사(빈)에서 출판되었다.
아다지오 칸타빌레 F장조2/2 악기편성은 G장조의 로망스와 같다. 형태도 A(19)-B(20)-A(18)-C(21)-A(17)-코다로 이루어져 G장조의 로망스와거의 비슷하다. 주제A는 장식적 선율로 현악 반주 위에서 노래한다. B는 A와 관계를 유지하면서 조성적으로는 d단조로 열정적인 분위기를 나타내고 있다.
C부분에서 이런 경향이 한층 강해지며 d단조의 정열적인 삽입구가 두드러진다. 마지막에 주제가 재현되는 부분에서는 주제 선율이 장식,변형되면서 코다로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