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RODUCTION

The Solomon Trio
Danniel Adni, piano
Rodney Friend, violin
Raphael Sommer, cello

Total Time : 01:11:33

1. Piano Trio No.3 in f minor

작품의 배경 및 개요

교향곡을 정점에 올려 놓은 인물이 베토벤인데 피아노 삼중주 역시 그 예술적 완성은 베토벤에 이르러 정점에 이르렀다고 한다. 하이든에 의해 심각한 예술적 양식의 반열에 올라 하이든에 의해 성숙한 현악사중주는 균질한 현의 톤칼라와 조화로움과 통일감으로 대표되는 예술양식이었다. 중산층의 성장과 더불어 다양성, 독립성, 개성 등이 사회적 미덕으로 존중되면서 현악사중주 말고 다른 예술 양식이 필요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런 토양 속에서 피아노 삼중주가 융성하게 되었다고 한다. 피아노 삼중주는 각 악기가 비슷하게 활약하기 때문에 비루투어조에게 맞는 형식이었고 현악기 두개와 피아노의 톤칼라와 음량이 현저히 차이가 났기 때문에 개별성의 표현 못지 않게 상호침투와 조화가 중요했는데 따라서 현악사중주와는 달리 조금 더 세련되고 치밀한 작곡기법을 요했다고 한다.

낭만파가 득세하던 드보르작의 활동기에는 피아노 삼중주의 작곡이 대유행이었는데 그 역시 뛰어난 삼중주 곡을 남겼다. 아쉬운 점은 이름이 붙은 그의 마지막 피아노 삼중주 'dumky'보다 바로 그 전에 작곡한 피아노 삼중주 3번 op 65가 너무 인기가 없다는 점이다. 작품이 주는 감동과 감정적 임팩트에 있어서 3번이 dumky보다 훨씬 강렬하고 규모면에서도 더 크고 장대하지만 왜 그런지 4번에 비해 별로 연주가 안된다.

이런 경우는 또 있는데 그의 교향곡 7번과 8번은 내용이나 형식이나 예술적 감동에 있어 9번 신세계에 비해 훨씬 상회하지만 '신세계'라는 별명이 붙은 9번의 그늘 아래 있다. 마케팅면에서 보면 이름이 붙은 곡들은 story telling이 가능하고 기억하기 쉽고 부르기 쉽기 때문에 일반인에게 훨씬 어필하는 것 같다. 물건을 잘 파려면 품질만 우수하면 안되고 거기에 어떤 일화가 연관되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가죽, 시계 사치품의 마케팅에 잘쓰인다. 우리는 100년전의 음악의 세계에서도 story telling과 기억하기 쉽고 부르기 쉬운 작품이 득세한다는 것을 배운다.

피아노 삼중주 3번은 그의 실내악 곡 중에서는 가장 긴 편에 속하며 특히 1악장의 규모가 교향곡을 연상할 정도로 장대하며 구조적으로 복잡하며 층층이 쌓아 올린 중충 구조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그의 곡에서 느끼는 투명함, carefree, light-hearted 한 면보다는 두꺼운 구조가 주는 어두운 칙칠함과 passion과 열망의 떨림을 느낀다. 그의 곡 치고는 좀 특이하다.

이 곡의 정서는 어두운 멜랑콜리와 passion과 agitation과 그 사이에 살짝 끼어드는 싱그러움과 발작적이고 짧은 기쁨(exuberance)으로 점철되어 있다. 그가 이 곡을 작곡할 당시에는 감정적 긴장과 양자택일의 괴로움이 있었다고 한다. 작곡하기 얼마전 그의 어머니가 사망하여서 분위기가 다운된 것도 있다고 한다. 브람스가 드보르작을 높게 평가해서 그를 늘 도와주었다는 것과 마음씨 착한 드보르작이 브람스의 은혜를 평생 잊지 않고 늘 존경의 염을 품었다는 것도 이미 알려진 사실이다.
그런데 이 때에는 브람스의 도움이 드보르작에게는 좀 큰 부담이 되었나 보다. 뼈속 까지 독일인이었던 브람스의 음악적 기대에 역시 뼈속까지 보헤미안인 드보르작은 작품을 쓰는데 있어 그의 기대에 맞게 쓰려는 마음과 가슴속에서 울려나오는 보헤미안적인 음악적 성향의 충돌에 불편해했다고 한다. 이 곡이 작곡될 1882년에 브람스는 드보르작에게 아예 비엔나에 살면서 작품활동을 하라고 권했고, 오페라를 쓸 수 있도록 독일내의 오페라 극장을 섭외해주었는데 문제는 독일어로 리브베토를 써달라는 것이었고 게다가 문제는 보수가 매우 좋았다는 것이다.

여러가지로 갈등하고 결정장애를 일으킬 만한 일들이 많았다고 한다. 어머니의 죽음과 자신이 존경하는 후견인인 브람스와의 관계 -감사와 독립적이 되고자 하는 마음 등등-이 겹쳐 이 곡은 대단히 정서적으로 긴장이 되고 대비가 되는 정서가 발작적으로 교차한다. 이 곡은 그의 다른 실내악곡이 수주에 걸쳐 완성된 것과는 다르게 2개월에 걸쳐 수많은 교정과 수정을 거쳐 작곡되었다. 드보르작으로서는 고통의 진주라고 할 수 있다.

작품의 구성 및 특징

제1악장 알레그로 마 논 트롭포. 소나타 형식
이 곡에서 가장 길고 장대하고 중첩적인 구조이며 passion과 agitation과 멜랑꼴리와 애수와 우수와 잠시의 싱그러운 기쁨으로 가득차 있다. 성냥불 하나 그으면 바로 폭발할 것 같은 팽팽한 휘발성 감정으로 가득찬 악장이다. 땅김음으로 나오는 몹시도 불안하고 짜증까지 나는 1주제와 첼로에 의해 제시되는 아주 편하고 우아한 2주제로 악장이 진행되는데 이 부분이 아주 기억에 남았는지 2주제 부분을 변형하여 그의 첼로 협주곡의 3악장 2주제로 재활용했다고 한다. 거의 1주제로 진행된다.

제2악장 알레그로 그라치오소
2악장 스케르쪼는 빠른 리듬으로 세 악기가 하나의 멜로디를 주고 받으며 조금은 평이하게 진행된다.

제3악장 포코 아다지오
아주 인상적인 악장이다. 그윽한 현악기의 저음에 실려 아름다운 멜로디가 탄식처럼 나온다. 서정성과 우울함, 싱그러움과 칙칙함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완전한 마음 놓음이 아니라 뭔가 유보적인 이완이라는 느낌이 든다. 어떤 해설에는 브람스의 느낌이 난다고 한다.

제4악장 피날레, 알레그로 콘 브리오
4악장 피날레는 체코 춤곡인 furiant에서 리듬을 따온 악장으로 크게 보면 소나타 론도 형식이라고 한다. 1악장과 비슷하게 팽팽한 긴장을 거쳐 힘찬 승리와 긍정의 악상으로 종결한다.

2. Piano Trio No.2 in g minor

피아노 3중주 2번은 1번을 작곡하고 8개월 후에 작곡되었는데, 작곡에 17일밖에 걸리지 않았다고 한다. 1876년에 작곡해서 1879년 초연을 했는데, 초연 때는 드보르자크가 직접 피아노 연주를 했다.

1번이 쾌활한 분위기였다면 2번은 그리움이 주감정입니다. 얼마 전에 죽은 딸을 그리워했을 수도 있고, 고향을 그리워했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모두 4악장으로 되어 있는데, 주제가 단순하다. 이전 작품의 1악장에는 세 가지 주제가 등장하는데, 이번에는 하나의 주제만 나타난다.
2악장도 하나의 주제뿐이고, 3악장 스케르초도 전통적으로는 3부 형식이어야 하는데, 이번 작품에서는 구분이 명확하지 않다. 4악장은 두 개의 주제를 가진 소나타 형식으로, 후반부에서는 밝은 느낌을 주면서 끝을 낸다.

글 출처 : 취음향의 음악과 세상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