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회상(靈山會相) 영산회상이란 곡은 15세기 음악을 수록한 대악후보(영조35년, 1759년)에 수록되어있다. 이 악보에 있는 영산회상은 악학궤범에 보면 영산회상불보살이란 불교가사를 가진 4페이지 밖에 안되는 관련반주의 성악곡이었다. 후에 그가사는 불리워지지 않고 순 기악합주곡으로 된 것이다. 이 원곡은 현행 영산회상의 첫곡인 상령산 제4장 3각에 해당하는데 기악화된 후의 영산회상은 상령산에 이어 중령산, 세령산(잔령산), 가락덜이의 반주곡이 추가되고 불교 음악과는 관계가 없는 삼현도드리, 하연도드리, 그리고 염불, 타령, 군악의 다섯곡이 첨가되어 모두 9곡의 모음곡으로 발전하였다. 현행 영산회상은 세가지가 있다. 원곡이요 첫곡인 현악 영산회상은 현악기 위주의 악곡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며 거문고가 음악을 주도한다고 해서 거문고호상이라고도 하는 것이고 이를 4도 아래로 내려서 연주 하는 것을 낮은 음역으로 연주한다고 해서 평조회상이라고 한다. 현악 영산회상의 악기는 대금, 세피리, 해금, 가야금, 거문고, 장고에 단소나 양금이 곁들인다. 대금과 피리는 낮은 음역에 세피리는 미약한 소리를 내니까 현악기 소리가 들어간다. 그래서 이 곡은 단잽이로 연주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래서 이를 줄풍류(현악합주곡)라고 하기도 한다. 그러나 평조회상은 세피리가 향피리로 바뀌니까 관악소리가 커지고 비례해서 가야금이나 거문고 숫자를 늘리게 되어 큰 규모의 합주로 연주되는 것이 보통이며, 평조회상은 유초신지곡이라는 아명도 가지고 있다. 세번째로 관악기만으로 연주되도록 변주한것을 삼현 영산회상 (관악 영산회상), 관악기 위주의 음악이라는 뜻에서 대풍류 또는 표정만방지곡 이란 아명도 있다. 선비들 또는 풍류객들이 자신들의 정신수양의 수단으로 연주하는 이런 풍류는 특히 정악이라고 부르며 연주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의 마음을 흥분시키지 않고 아정하고 심오한 맛을 느끼게 한다. 우리나라 음악에는 서양음악에서와 같은 화성이 없고 대부분 같은 선율을 연주하지만 이곡은 현악기와 관악기의 선율이 늘 같지 않다. 현악은 어디가 프레이즈의 끝인지가 불분명하지만 대금, 피리등의 관악은 비교적 프레이즈의 끝을 알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단순한 제주가 아니다. 영산회상의 9곡은 따로 끊지 않고 계속 연주하는 것이 관례이기 때문에 각곡의 시작과 끝을 알기가 어렵다. 첫곡과 둘째곡의 구분이 잘 안되고 세령산과 가락덜이 삼현과 하현 염불 등이 같은 선율의 반복이 많기 때문에 또한 구분하기가 어렵다. 이 9곡을 모두 연주한 뒤에 천년만세라는 3곡으로 된 조그만 모음곡 하나를 잇대어 연주하는 것도 보통이다. 글 출처 : Album Review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