첼로 한 대로 편치는 음악의 황홀경

바흐, 무반주 첼로 모음곡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을 거론하면서 스페인 태생의 첼리스트 파블로 카잘스(Pablo Casals, 1876~1973)를 빼놓을 수 없습니다. 그가 열세 살 때의 일입니다. 1889년이었지요. 바르셀로나에서 유학 중이던 카잘스는 그해에 풀 사이즈(full-size) 첼로를 처음으로 갖게 됩니다. 당시 그는 시립음악학교에 다니면서 밤에는 카페 ‘파하레라(Pajarera)’에서 연주를 하고 있었지요.

   ‘파하레라’는 스페인 말로 ‘새장’이라는 뜻입니다. 어린 카잘스가 용돈을 벌던 곳이었던 동시에, 첼리스트로서의 실전 감각을 키우던 연습무대이기도 했습니다. 카탈루냐의 시골 마을 벤드렐의 성당 오르가니스트였던 아버지는 일주일에 한 번씩 하들을 찾아와 잘 지내고 있는지 살펴보곤 했지요. 그날도 그랬습니다. 바르셀로나에 온 아버지가 어느새 훌쩍 자란 아들을 위해 풀 사이즈 첼로를 사줬습니다. 카잘스는 아버지에게 카페에서 연주할 독주곡 악보도 사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부자는 부둣가의 어느 고서점을 함께 찾아갑니다.

   그 다음부터의 이야기는 잘 알려져 있습니다. 카잘스는 먼지를 뒤집어 쓴 악보 더미 속에서 “아주 오래돼 변색된 악보 다발”을 발견합니다. 주지하다시피 그 고색창연한 악보는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이었지요. 1번부터 6번까지, 한 곡도 빠지지 않은 온전한 ‘전곡(全曲) 악보’였습니다. 열세 살의 카잘스는 매우 흥분했을 겁니다. 풀 사이즈 첼로에 기가 막힌 악보까지 발견했으니 마치 구름이라도 탄 기분이었을 겁니다.

   헌데 문제는 후대 사람들의 오해와 왜곡입니다. 어린 카잘스의 발견이 한 편의 ‘기적’으로 점점 신화화되면서, 급기야는 바흐 사후에 한 번도 연주된 적이 없었던 ‘전설의 모음곡’을 열세 살의 아이가 어느 날 갑자기 발견한 것처럼 회자되기 시작한 것이지요.

   하지만 사실과 많이 다릅니다. 실제로 《무반주 첼로 모음곡》은 1825년경 프랑스 파리에서 인쇄된 악보로 처음 출판됐고, 카잘스 앞 시대의 첼리스트들도 이 모음곡 중 일부를 종종 연주하곤 했습니다. 물론 카잘스 본인도 《무반주 첼로 모음곡》을 ‘내가 처음 발견했다’고 말한 적이 한 번도 없습니다. 다음 그는 자신이 발견한 악보를 연습하고 또 연습해 스물다섯 살 되던 해에 처음으로 공개 연주회를 갖지요. 물론 전곡 연주는 아니었습니다. 카잘스는 “모음곡 가운데 한 곡을 연주했다”고 자신의 회고록 『첼리스트 카잘스, 나의 기쁨과 슬픔』에서 밝히고 있습니다.

   이 불세출이 첼리스트에 의해 유명해진 《무반주 첼로 모음곡》은 바흐가 괴텐 궁정의 악장이었던 시절(1717 ~ 1723)에 쓴 곡입니다. 작곡 연도를 1720년으로 추정하고 있으니 바흐가 서른다섯 살 때였습니다. 첫 번째 아내 마리아 바르바라가 갑자기 세상을 떠난 해였습니다. 하지만 음악가로서의 바흐는 한창 물이 올랐을 때였지요. 많은 예술가들이 중년에 이르러 이른바 ‘걸작의 숲’에 들어서곤 하는데 바흐도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게다가 당시 바흐가 근무했던 괴텐 궁정의 영주 레오폴트(Leopold)는 칼뱅파 개신교도였기에 의전용 교회음악을 별로 탐탁찮게 여겼습니다. 억분에 바흐는 세속적인 음악에 집중할 수 있었지요. 오늘날 연주되는 바흐의 많은 기악곡 걸작들이 이 시절에 태어납니다. 그 중에서도 《무반주 첼로 모음곡》은 《무반주 바이올린 소나타와 파르티타》,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등과 더불어 이 시기의 바흐를 대표하는 기악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본 구성은 ‘네 개의 춤곡’이지요. 알르망드(Allemande), 쿠랑트(Courante), 사라방드(Sarabande), 지그(Gigue). 이 네 개의 전형적인 춤곡을 기본 뼈대로 삼는 것은 당시 작곡가들이 모음곡을 쓰던 일반적인 방식이었습니다. 바흐는 거기에 더해 맨 앞에 전주곡을 뜻하는 ‘프렐류드(Prelude)’를 배치함으로써 곡 전체의 주제와 분위기를 드러냅니다. 또 ‘사라방드’와 ‘지그’ 사이에 다른 춤곡들을 간주곡 풍으로 삽입해 약간의 변화를 시도하기도 합니다. 예컨대 미뉴에트(Menuet), 가보트(Gavotte), 부레(Bourree) 등이 그것이지요.

   결국 이 음악을 제대로 듣기 위해선 기본이 되는 네 개의 춤곡에 집중할 필요가 있습니다. 가장 먼저 등장하는 ‘알르망드’는 보통 템포의 빠르기에 약간 묵직한 느낌을 전해줍니다. 이어지는 ‘쿠랑트’는 프랑스어로 ‘달리다’라는 뜻인데, 가장 빠른 템포로 활달한 분위기를 풍기는 춤곡이지요. 반면에 쿠랑트 다음에 곧바로 이어지는 ‘사라방드’는 가장 템포가 느리고 장중합니다. 쿠랑트와 사라방드는 그렇게 어깨는 맞댄 채 ‘빠름과 느림’의 대구를 이룹니다. 마지막으로 ‘지그’는 약간 빠른 템포로 진행되는 3박자의 춤곡이지요.

   이 곡의 또 다른 별미는 화성입니다. 《무반주 첼로 모음곡》을 듣고 있노라면 마치 여러 대의 첼로가 동시에 연주되고 있는 듯한 착각이 듭니다. 이른바 중음주법(double-stopping, 바이올린, 첼로 등의 현악기에서 두 현 또는 그 이상의 현의 음을 동시에 내는 주법(奏法))이 수시로 등장하면서 기가 막힌 화음을 만들어내기 때문이지요. 1번부터 6번까지의 모음곡 중에서도 특히 ‘3번’에서 그런 특징이 잘 드러납니다. 프렐류드부터 현란한 더블 스토핑이 펼쳐지면서 듣는 이를 황홀하게 만들지요. 모두가 잠든 한밤중, 혹은 비 내리는 새벽도 좋겠네요. 바흐가 전해주는 더블 스토핑의 짜릿함에 빠져 보길 권합니다.

《무반주 첼로 모음곡》에 등장하는 춤곡

알르망드(Allemande)
1550대에 발생한 느린 2박자계의 무곡. ‘독일풍의 무곡’이란 뜻으로 독일 라이겐의 무곡이라고도 한다.

쿠랑트(Courante)
16세기에 발생하여 한때 유럽 여러 곳에서 널리 유행했던 춤곡. 프랑스어 ‘courir(뛰다)’에서 비롯된 이름으로 17세기 중엽에는 모음곡 중의 한 곡이 되었다.

사라방드(Sarabande)
느린 3박자계이 우아한 무곡. 페르시아가 기원으로 16세기 무렵 스페인을 통해 유럽에서 전해졌다.

지그(Gigue)
16세기 영국의 무곡인 지그(jig)에서 발전하여, 프랑스와 이탈리아에서 전개된 3박자계의 빠른 무곡. 이후 고전 모음곡을 구성하는 표준적인 4개의 모곡 악장 중 하나가 되었다.

미뉴에트(Menuet)
17~18세기 프랑스·영국을 중심으로 유행한 3/4박자의 무곡. 프랑스어 ‘menu(작다)’에서 유래했다. 스텝의 폭이 작으며, 양식화되고 우아한 귀족적인 움직임이 특징이다.

가보트(Gavotte)
17세기경 프랑스의 궁정을 중심으로 전 유럽에 유행한 2박자 또는 4박자의 사교댄스. 남프랑스 가보 지방의 포크 댄스에서 기원한다. 경쾌한 리듬과 우아한 춤사위가 특징이다.

부레(Bourree)
17 ~ 18세기 프랑스 궁정무용과 음악을 양식화한 2박자 계열의 무곡. 16세기 중엽 오베르뉴 지방의 사람들이 이와 비슷한 춤을 추었다고 전해진다.


추천 음반 듣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