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비노니 알비노니 오보에 협주곡 라단조 Op.9-2, 사단조 Op. 9-8
2008.03.09 01:14
댓글 12
- 
			오작교2008.03.09 01:23 
- 
			여명2008.03.09 07:30 오보에 이야기와 함께
 오늘아침 첫음악으로 듣는 상쾌함...
 이러기에 평생을 음악 사랑 속에서 사는가 봅니다.
 고운아침 입니다.
 잘지내시지요?
- 
			오작교2008.03.09 10:16 예. 여명님.
 그러고보니 참 오랜만에 만나는 사이같네요.
 누이의 글을 읽으면서 바쁜 궤적을 좇고는 있습니다.
- 
			보현심2008.03.09 13:10 지금부터 컴퓨터를 방에서 마루로 이동하려고 음악을 틀었습니다..
 님이 주신 음악을 벗삼아 ㅎㅎㅎ 완연한 봄같군요!!!^^*
- 
			오작교2008.03.09 18:02 보현심님.
 이제 휴일도 땅거미가 내리고 있는 시간입니다.
 좋은 휴일이 되셨는지요.
 봄철에 집안에 약간씩의 변화를 주는 것도 좋은 기분전환이 되겠지요.
 봄볕이 완연합니다.
- 
			감로성2008.03.10 03:45 저는 님들의 뒤를 따라 다니고 있네요.
 이제서 느긋하게 휴일을 즐기고 있습니다.
 아침에는 남편따라 앞산으로 운동을 다녀 왔지요
 이곳은 오늘부터 썸머타임을 시작 했답니다. 작년 까지는 4월 첫주부터 시작 했는데 올해부터는 한달을 앞 당겨
 시작합니다. 그래서인지 봄도 빨리 끝나고 곧 여름이 시작 될것 같은
 기운 입니다. 오보에 협주곡 감사히 듣습니다.
- 
			루디아2011.06.25 17:50 오보에 협주곡 사단조라고 올려진 4,5,6번은 아닌것 가튼데요.. 오보에 소리는 안나고요... 
- 
			오작교2011.06.26 10:36 그러게요. 참내. 엉뚱한 한스의 세레나데와 뻐꾸기 왈츠 등이 올려져 있네요? 아마도 링크가 끊어진 음원을 수정을 하면서 다른 음번이 올려진 듯..... 루디아님의 지적이 아니었으면 그 아름다운 사단조의 협주곡을 듣지 못할 뻔 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루디아2013.08.02 00:15 참 아름다운 음악.... 폭염 뒤에 내린 소나기로 바람은 선선하고 바람따라 연주하는 듯한 오보에가 너무 아름다워요~~  
- 
			수혜안나2023.03.11 13:32 4,5,6번 음악이 흐르지 않는 것 같습니다. 한국은 주말이네요 사랑으로 福된 날들이 되십시요 
- 
			오작교2023.03.11 20:50 예. 그 음원들의 링크가 예전 서버의 주소로 되어 있었습니다. 지금은 잘 나오지요? 늘 감사합니다. 
- 
			수혜안나2023.03.12 01:09 잠에서 깨어나 호흡 마치고 어제 못 들었던 곡 마저 듣게 되는 소소한 기쁨과 함께 선율로 의식을 깨워봅니다 테이블 속 이미지를 처음 만났을 때 영적 미감(美感)이 참으로 깊었는데 한결같음을 만나 여전히 좋기만 하지요 그 모든 나눔에 저도 늘 감사드립니다 
| 번호 | 제목 | 날짜 | 조회 수 | 
|---|---|---|---|
| 공지 | 슈베르트 겨울 나그네 24곡 모음집 / Hans Hotter, Baritone [17] | 2010.12.07 | 179637 | 
| 공지 | Brahms의 Hungarian Dances 21곡 전곡모음 [3] | 2007.05.18 | 113472 | 
| 2 | Adagio in g minor / Albinoni
	[2]   | 2021.01.08 | 17925 | 
| » | 알비노니 오보에 협주곡 라단조 Op.9-2, 사단조 Op. 9-8 [12] | 2008.03.09 | 18589 | 
 
				
알비노니의 라단조와 사단조를 함께 올려 봅니다.
오보에는 높은 음역의 목관악기를 뜻하는 프랑스어의 오부아(Hautbois)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오보에는 더블 리드를 사용하는데, 이 더블 리드는 갈대나 보리, 나무줄기 등
어떤 식물로도 만들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오보에와 같은 더블 리드를 사용하는 악기의 기원은
전세계 곳곳에 걸쳐 매우 오랜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야 할 것입니다.
가령 B.C 2800년 무렵에도 2개의 관을 가진 수메리아인의 2관 오보에가 있었으며,
이것과 유사한 모습을 한 악기로 고대 그리스의 아울로스, 그리고 이스라엘이나 이집트의 할릴,
로마의 티비아가 있습니다. 동양에서는 중국에 있었던 쿠안이 이와 유사한 악기이지요.